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CCTV 관제 전문가의 정의, 배경과 필요성, 자격 제도의 주요 내용

by 정보 보관함 2024. 12. 6.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공공 및 민간 CCTV 영상관제 시설에서의 영상정보 보호와 관리 수준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공인 영상정보관리사 자격 제도를 신설했습니다. 이는 기술 발전과 함께 증가하는 개인정보 보호 요구를 충족시키고,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새롭게 발표된 자격 제도의 주요 내용, 영상정보관리사의 역할, 기대효과, 그리고 향후 과제를 살펴보겠습니다.

 

배경과 필요성

배경과 필요성
배경과 필요성

 

CCTV 영상관제는 범죄 예방, 재난 대응, 시설 안전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CCTV 영상관제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들에 대한 자격 기준이 미흡했고, 그로 인해 관리와 보호 수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 왔습니다.

 

2023년 기준, 전국 21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약 60만 대의 CCTV가 관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기술적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높아졌습니다. 이번 자격 제도는 이러한 사회적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신설되었습니다.

 

영상정보관리사란 무엇인가?

 

영상정보관리사는 CCTV와 같은 영상정보 처리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호하며, 이를 적절히 활용해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는 전문 인력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1. 영상정보 보호와 관리: 영상정보의 무단 유출, 불법 사용 등을 방지하고,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하며 안전하게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2. 긴급 상황 대응: 화재, 사고, 재난 등 긴급 상황에서 CCTV 영상을 활용해 신속히 대응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3. 영상관제 시스템 운영: CCTV와 관련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지 보수하며, 관제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지원합니다.

4. 법적 요구사항 준수: 영상정보 관리와 관련된 국내외 규정을 숙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국가공인 영상정보관리사 자격 제도의 주요 내용

 

국가공인 자격 제도는 공공 및 민간 CCTV 관제 시설에서 요구되는 법적 지식과 기술적 역량을 평가하며, 2025년부터 시행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험 시행 일정 및 자격: 첫 시험은 2025년 3월에 시작되며, 이후 매년 4회 시행됩니다. 응시 자격에 제한이 없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

 

2. 검정 과목

가. 영상정보 관리 일반: 관제센터의 역할, 관련 법령 등

나. 영상정보관제 시스템: 시스템 및 기기 구성, 운영환경 관리 등

다. 영상정보 관리 실무: 긴급 상황 대응, 관제 솔루션 설정 등

 

3. 합격 기준: 필기와 실기 각각 100점 만점 중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합격입니다.

4. 우대 방안: 자격 취득자는 공공 및 민간 관제 시설 채용, 승진 시 우대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기대효과로는

1. 영상정보 보호 수준 향상: 체계적인 자격 기준을 통해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배치함으로써 영상정보 보호와 관제 업무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입니다.

2. 재난 및 사고 대응 강화: 영상정보를 활용한 재난 대응, 실종아동 발견 등에서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증대됩니다.

3. 신기술 활용 확대: 커넥티드카, 배달 로봇, 드론 등 새로운 기술 도입과 맞물려 영상관제 전문가 수요가 늘어나며 산업 발전을 촉진할 것입니다.

 

우려사항과 추후 해결해야할 과제로는

1. 현장 적용 가능성: 자격 취득 후 실제 업무와의 연결성을 강화해야 하며, 교육과 실무 간의 간극을 줄이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2. 교육의 접근성: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이 제공되고 있지만, 지방 소도시나 특정 계층에게도 접근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합니다.

3. 기술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개선: 영상관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시험 과목과 교육 과정이 최신 기술을 반영하도록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4. 지역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방 자치 단체와 협력해 지역별 교육 수요를 분석하고, 지역 특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농어촌 지역에서는 드론 활용 관제 교육을, 대도시에서는 고도화된 스마트시티 관제 시스템 교육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5. 산학 협력 확대: 대학교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영상정보 관리와 관련된 커리큘럼을 신설하고, 학생들이 실무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 인턴십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합니다.

6. 국제 표준 준수 및 교류: 영상정보 관리와 관련된 국제 규정을 반영해 국내 자격 기준을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도록 설계하고, 해외 기관과의 교류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7. 실무 중심의 평가 체계 도입: 단순 이론 시험을 넘어, 실제 관제 센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실무 평가 체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현장 적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8. 고용 연계 프로그램 마련: 자격 취득자와 민간 기업 및 공공기관을 연결하는 고용 매칭 플랫폼을 운영하고, 자격 보유자를 우대하는 인센티브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CCTV 영상관제 전문가 국가공인 자격 제도는 개인정보 보호와 안전 관제 업무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중요한 시작점입니다. 기술 발전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된 이 제도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참고 자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보도자료, 「CCTV 영상관제 전문가, 국가공인 자격 제도 신설」 (2024. 11. 28)